[코틀린] 변수, 자료형
- 이런저런 공부/코틀린
- 2020. 5. 31.
변수(variable)
정확하지 않지만 변수를 처음 이해할 때 상자라고 생각할 수 있다.
변수 상자에 어떠한 것을 담아 놓을 수 있고, 상자 안에 필요한 것이 있을 때 상자를 가지고 와서 꺼내면 된다.
즉 변수를 선언한다는 것은 어떠한 상자에다가 내가 원하는 것을 넣고, 필요할 때 사용한다는 것이다.
변수(variable)의 종류
변수(variable)의 종류에는 2가지가 있다.
1. var : 내 마음대로 원하는 것을 넣을 수 있는 상자 → Variable
2. val : 한번 넣으면 바꿀 수 없는 상자 → Value
변수 선언하는 방법
var / val 변수명(상자) = 값(넣고 싶은 것)
var num = 10
var hello = "hello"
var point = 3.4
var fix = 20
fun main(args:Array <String>){
println (num)
println (hello)
println (point)
println (fix)
}
10
hello
3.4
20
var / val 변수에 새로운 값을 넣어 var와 val을 비교해 본다.
var num = 10
var hello = "hello"
var point = 3.4
val fix = 20
fun main(args:Array <String>){
println (num)
println (hello)
println (point)
println (fix)
num = 100
hello = "Good Bye"
point = 10.4
println (num)
println (hello)
println (point)
}
100
Good Bye
10.4
fix = 500과 println (fix)를 넣는다
var num = 10
var hello = "hello"
var point = 3.4
val fix = 20
fun main(args:Array <String>){
println (num)
println (hello)
println (point)
println (fix)
num = 100
hello = "Good Bye"
point = 10.4
fix = 500
println (num)
println (hello)
println (point)
println (fix)
}
(결과) fix = 500과 println (fix)를 넣은 후 결과 (오류) → val : 한번 넣으면 바꿀 수 없는 상자
자료형
정수형: Long > Int > Short > Byte
실수형: Double > Float
문자: Char (하나의 글자)
문자열: String (여러 글의 문자)
논리형: (참 True/ 거짓 False) -> Boolean
// 변수를 선언하는 방법 (1)
var number = 10
// 변수를 선언하는 방법 (2)
var number1: Int = 20
var hello1: String = "Hello"
var point 1: Double = 3.4
fun main(array: Array <String>){
number = 20
// number라는 상자는 int형인데 값은 실수형이기 때문에 에러가 뜬다.
number = 20.5
}
※코틀린은 변수를 선언할 때 따로 명시해 주지 않아도, 값의 종류에 따라 컴퓨터가 알아서 자료형을 설정한다.
실습 1
// 연산의 결괏값을 변수에 넣어 줄 수 있다.
var a = 1 + 2 + 3 + 4 + 5
var b = "1"
// 변수 b를 Int형으로 변환.
var c = b.toInt()
// 변수 b를 Float형으로 변환
var d = b.toFloat()
var e = "John"
// $e는 변수 e가 이 자리에 들어간다는 것.
var f = "My name is $e Nice to meet you"
fun main(array: Array <String>){
println (a)
println (b)
println (c)
println (d)
println (f)
}
15
1
1
1.0
My name is John Nice to meet you
실습 2
// Null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뜻이다.
// 예를 들어 휴지를 다 사용하고 휴지 심만 남았다. 이건 Null이 아니라 0이다.
// Null이 되려면 휴지 심도 없어야 한다.
// 자료형 뒤에?를 붙여주면 Null을 가질 수 있는 자료형.
var abc1 : Int? = null
var abc2 : Double? = null
fun main(array: Array <String>){
println (abc1)
println (abc2)
// 출력할 때 Null이 출력된다고 해서 문자열이 아니다.
}
null
null
실습 3
var a = 1 + 2 + 3 + 4 +5
var b = "1"
var c = b.toInt()
var d = b.toFloat()
// 변수 a는 1~5까지 더한 값 + 3 = 변수 g
var g = a + 3
var h = g * c + d
var i = "내 나이는 $g 세 이다."
fun main(array: Array <String>){
println (g)
println (h)
println (i)
}
18
19.0
내 나이는 18 세 이다
실습 4
var a = 1 + 2 + 3 + 4 + 5
var b = "1"
var c = b.toInt()
var d = b.toFloat()
var abc : Int? = null
var j = abc + a + 30
fun main(array: Array <String>){
println (a)
println (b)
println (c)
println (d)
println (e)
println (f)
}